2025년 새해가 밝았다.
이웃 나라 일본을 두고 하는 말 같았던 초 고령 사회가 우리에게 닥쳤다.
2017년 전체 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14%를 넘는 고령사회에 진입했고, 2025년에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해 왔다. 그렇게 전망한 것이 이제 피할 수 없이 2024년 12월 23일에 마침내 현실이 됐다.
초고령 연령 사회가 되면 인구 고령화로 주요한 생산연령인구가 크게 하락하면서 경제성장과 발전이 저하되는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한다.
가장 먼저 노동력이 떨어지는 만큼 경제 성장 또한 둔화될 것이다.
그리고 증가하는 노인부양과 돌봄 수요로 의료·복지 분야의 정부 지출이 늘어나 보건·복지·의료 재정에 대한 부담이 증가할 것이라는 걱정의 목소리 또한 크다. 그 외에 국민연금 재정 고갈 위기 문제, 세금을 부담하는 세대와 연금을 받는 노인 세대 간의 갈등 심화 등의 우려도 있다.
그런 반면 일부 학계에서는 위기의 반대 시각에서 초고령사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고 피력하는 이들도 있다.
이들이 주장하는 것을 나열해 보면 먼저 경제적으로 고령 친화 산업 규모가 커질 것이다. 초고령사회는 고령 소비자 비중이 많아짐을 의미하고, 이들이 건강하고 자립적·독립적으로 생활하도록 보조하는 제품 및 서비스 시장과 산업이 성장하고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건강하고 사회참여 욕구가 높은 노인들이 사회 주역으로 참여하는 역할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매일경제에서 베이비붐 세대를 교육(Wisdom)과 자산(Wealth) 수준이 높고, 건강과 웰빙(Well-being) 증진에 돈을 아끼지 않으며 일 참여(Work) 의지가 높은 W세대라고 지칭했다. 과거에 나약하고 취약한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서 앞으로는 노인을 연상하는 이미지가 건강하고 활기찬 모습으로 변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어떻게 생각해보면 이러한 주장이 맞는 것 같다.
인구 고령화로 인한 위기와 두려움은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변화하는 현실 속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예측하고 현명한 대응 방안을 입체적으로 마련한다면 희망적인 미래를 맞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
초고령 사회라고 느끼는 사고를 인식하지 말고 모든 국민이 머리를 맞대고 초 고령 사회에 적응하고 발전 방향을 찾는 데 적극적으로 지혜와 힘을 모은 다면 새로운 젊음의 국면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코멘트(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