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er

선진국 가는 길 농촌에 달렸다.

지금 세계적으로 가장 잘사는 선진국은 농업이 발전한 나라이다.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러시아 출신 미국 경제학자 사이먼 쿠즈네츠는 "후진국이 공업화로 중진국은 될 수 있지만, 농업과 농촌의 발전 없이는 결코 선진국으로 진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미국은 최첨단 기술·군사 강국으로만 생각하지만 사실 미국은 세계 최고의 농업 강국이기도 하다. 미국은 농업이 모든 산업의 기본이라는 국민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농업을 담당하고 있는 미 농무부(USDA)는 국방부 다음으로 큰 조직이며, 소속 직원은 약 11만 명에 이른다고 한다.

선진국에서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중요성을 일찌감치 인식하고 지원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위스의 경우 연방헌법 제104조를 통해 농업의 공익적 기능을 위한 정부의 직불금 보상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지원하고 있으며, EU도 공동농업정책(CAP)을 중심으로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지원을 지속하고 있다.

일반농민들이 알고 있는 농업은 단순히 먹거리를 생산하는 것이 다인 줄 알지만, 농업은 식량을 공급하는 기능 외에도 생태계를 유지하는 환경보전 기능, 자연 속에서 여가를 즐기고 치유하는 농촌 경관 제공 기능, 지역간 균형발전에 기여하는 지역사회 유지 기능, 민족 고유문화를 유지하는 전통문화 보전 기능, 안정적인 식량 수급 체계를 유지하는 식량안보 기능 등 다양한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2018년 농촌경제연구원 발표에 의하면 그 가치가 산림자원을 포함하여  무려 244조 원에 이른다고 한다.

최근 우리 농업·농촌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소비 부진, 농자재 가격 상승, 농촌 고령화로 인한 인력 부족, 이상기후로 인한 빈번한 농작물 피해 등 수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난관 속에서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농업의 공익적 기능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지원을 확대하고, 그에 따른 공익적 성과를 적극 홍보해 이를 근거로 농업 부문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선순환 구조 확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젊은이들이 농촌을 사랑하고 지킬 수 있도록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이 중요하다.

지속 가능한 농업·농촌 구현을 위해서는 우리 농업인들에게 희망을 심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농업인의 경제적 자립 없이는 우리 농업·농촌의 미래도 밝을 수 없다. 농업인이 농촌을 떠나면 농촌 소멸화는 가속화될 것이고 농업의 공익적 기능도 유지하지 못할 것이며, 결국 우리나라 경제는 어려움에 직면할 것이다. 


좋아요
0

훈훈해요
0

슬퍼요
0

화나요
0

후속기사 원해요
0
 

코멘트(Comments)

로그인 하시면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뉴스

최근 #

NEWS